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01

로이-디에츠 증후군 (LDS; Loeys-Dietz Syndrome) 로이-디에츠 증후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로이-디에츠 증후군의 개요 로이-디에츠 증후군은 유전성 결체조직 질환입니다. 2005년 벨기에의 유전학자인 Bart Loeys와 미국의 말판 증후군 연구자인 Harry Dietz가 발견하였습니다. 질환명은 두 분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였습니다. 말판 증후군과 매우 흡사하여 오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혈관계 합병증의 위험이 높아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TGFBR 유전자의 돌연변이입니다. 즉, TGF beta receptor입니다. 로이-디에츠 증후군의 임상소견 3대 중요소견 i) 동맥 확장 ii) 양 미간 확장 iii) 두개순 파열과 목젖의 갈라짐 계통 증상 심혈관계 대동맥과 대동맥에서 나가는 동맥 분지들이 꼬불꼬불하다. 특히 뇌로 가는 혈관이 매우 꼬.. 2022. 4. 11.
턱관절 장애 - 내익상근 / 외익상근 *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내익상근&외익상근의 해부학(기시점과 정지점, 혈관 및 신경공급) / 내익상근이 일으키는 임상증상에 대해 알게됩니다. 내익상근(medial pterygoid)은 아래턱뼈(madible)의 안쪽에 있어 평소에 만지기는 어려운 부위입니다. 외익상근(lateral pterygoid)의 상부섬유는 턱관절의 디스크로 정지합니다. pterygoid는 '날개모양을 가진'이라는 뜻입니다. 공룡을 좋아하는 어린이라면 익숙할 pteranodon과 같은 어원을 가집니다. 앞의 p는 묵음입니다. 내익상근은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Deep head와 Superficial head로 나뉘어집니다. 각 가지의 자세한 경로는 아래 표에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외익상근은 supirior head와 inferio.. 2022. 4. 10.
측두근 (Temporalis muscle) *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측두근의 해부학(기시점과 정지점, 신경, 혈관공급) / 측두근이 일으키는 임상증상에 대해 알게됩니다. 측두근은 머리의 옆 쪽을 채우는 근육입니다. 음식을 씹을 때 관자놀이가 올록볼록 올라오는 것을 보셨을텐데요, 그 근육이 측두근입니다. 정밀하지 않게 말할 때, 한 쪽 머리가 아프면 '편두통이 있다'고 표현하지요? 한 쪽 머리가 아플 때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근육입니다. 근육의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공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육 이름 Temporalis muscle 기시점(origin) temporal lines on the parietal bone of the skull the superior temporal surface of the sphenoid bone.. 2022. 4. 9.
교근 (Masseter) *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교근의 종류 / 기시점과 정지점 / 신경공급 / 교근이 일으키는 임상증상에 대해 알게됩니다. 교근(Masseter)은 우리가 음식을 씹을 때 사용하는 매우 강력한 근육입니다. 저작운동은 교근과 측두근이 합니다. 별 것 아닌 것 같은데 은근히 치료점이 될 때가 많은 근육입니다. 각 근육의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공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육 이름 Masseter 기시점(origin) zygomatic arch and maxillary process of zygomatic bone 정지점(insertion) Angle and lateral surface of ramus of mandible, coronoid process 작용 closing the jaws. elevat.. 2022.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