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내익상근&외익상근의 해부학(기시점과 정지점, 혈관 및 신경공급) / 내익상근이 일으키는 임상증상에 대해 알게됩니다.
- 내익상근(medial pterygoid)은 아래턱뼈(madible)의 안쪽에 있어 평소에 만지기는 어려운 부위입니다.
- 외익상근(lateral pterygoid)의 상부섬유는 턱관절의 디스크로 정지합니다.
- pterygoid는 '날개모양을 가진'이라는 뜻입니다. 공룡을 좋아하는 어린이라면 익숙할 pteranodon과 같은 어원을 가집니다. 앞의 p는 묵음입니다.
- 내익상근은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Deep head와 Superficial head로 나뉘어집니다.
- 각 가지의 자세한 경로는 아래 표에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 외익상근은 supirior head와 inferior head로 나뉘어집니다.
- 그림에서 보듯이 TMJ(측두하악관절=턱관절)의 디스크와 연결이 됩니다.
반응형
근육의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공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육 이름 | Medial Pterygoid |
기시점(origin) | deep head: medial side of lateral pterygoid plate behind the upper teeth superficial head: pyramidal process of palatine bone and maxillary tuberosity |
정지점(insertion) | medial angle of the mandible |
작용 | elevates mandible, closes jaw helps lateral pterygoids in moving the jaw from side to side |
혈관공급 | pterygoid branches of maxillary artery |
신경 공급 | mandibular nerve via nerve to medial pterygoid |
근육 이름 | Lateral Pterygoid |
기시점(origin) | Superior head: infratemporal surface of sphenoid bone. Inferior head: lateral pterygoid plate |
정지점(insertion) | Superior head: anterior side of the condyle. Inferior head: pterygoid fovea |
작용 | depresses and protrudes mandible side to side movement of mandible |
혈관공급 | lateral pterygoid nerve from mandibular nerve |
신경 공급 | mandibular nerve via nerve to medial pterygoid |
- optic ganglion 주변을 지나갑니다.
* 참고영상 (Kenhub)
[내익상근]
[외익상근]
* 임상적 증상
- 내익상근 : 턱관절으로 방사통을 유발합니다.
- 외익상근 : 턱관절에서 '딱'하는 염발음(clicking sound)이 들릴 수 있습니다. 턱관절과 관골부로 방사통이 있습니다.
- 침을 놓으려면 입을 살짝 벌리고 하악절흔의 열려진 공간으로 약간 후방을 향해 삽입합니다. 턱관절 문제로 내원했을 때 이 근육들에 침을 놓고 동기요법을 시켜주면 좋습니다. 입을 벌렸다 다물었다 하도록 시키는 것입니다. 그런데 코로나땜에 요새는 잘 안합니다.
- 집에서는 엄지손가락을 볼 안쪽으로 넣어 직접 마사지하도록 교육합니다. 은근히 익상근만으로 턱관절 장애가 호전되는 경험을 많이 합니다. 턱관절 정리는 따로 해보겠습니다.
반응형
'근골격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경근(두반극근, 경반극근, 두최장근, 다열근/회선근) (0) | 2022.04.14 |
---|---|
이복근 (diagastric muscle) (0) | 2022.04.12 |
측두근 (Temporalis muscle) (0) | 2022.04.09 |
교근 (Masseter) (0) | 2022.04.08 |
안면근육 - 얼굴의 근육들 (Facial muscles) (0) | 2022.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