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01 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견갑거근의 해부학(기시점과 정지점 / 혈관공급 / 신경공급) / 견갑거근이 일으키는 임상증상에 대해 알게됩니다. 견갑거근(levator scapulae)은 말 그대로 견갑골을 끌어올려주는 근육입니다. 이 자세를 만드는 것인데요, 견갑거근의 문제인지 확인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기도 합니다. 수동적으로 팔꿈치를 고정시켜서 견갑골을 거상시키면 견갑거근이 느슨해집니다. 힘을 받지 못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렇게 만들어줬을 때 통증이 경감된다면 그만큼은 견갑거근의 지분이 있다고 판단합니다. 각 근육의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공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육 이름 Levator scapulae 기시점(origin) Posterior tubercles of transverse pr.. 2022. 4. 18. 턱관절(TMJ)의 해부학 턱관절에 대해 알아봅시다. * 뼈와 관절 두개골 중 옆통수에 위치한 초록색 뼈를 측두골, Temporal bone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아랫니가 박혀있는 아래턱뼈를 mandible이라고 합니다. 턱 관절은 이 두 종류의 뼈가 만드는 관절이에요. 그래서 흔히 Temporal-Mandible Joint, TMJ라고 부릅니다. 활막 구조를 가진 관절을 활막관절(synovial joint)이라 합니다. 턱관절도 활막관절의 일종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관절 사이를 연결해주는 capsule 구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apsule이 확장되어 disc를 이룹니다. 흔히들 척추 사이의 디스크를 더 잘 알고계시는데 턱관절에도 디스크가 있습니다. 디스크는 위로는 temporal bone의 mandibular fossa와,.. 2022. 4. 15. 후경근(두반극근, 경반극근, 두최장근, 다열근/회선근) *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후경근의 종류와 후경근이 일으키는 임상증상에 대해 알게됩니다. 목 뒤에 있는 근육을 통틀어 후경근(後頸筋)이라고 합니다. 반극근(semispinalis), 두최장근(longissimus capitis), 다열근(multifidus), 회선근(rotatores)으로 나누어볼 수 있습니다. 좌측 : 두/경반극근 우측 : 두최장근 좌측 : 다열근 우측 : 회선근 * 참고영상 (Kenhub) * 임상적 증상 후경근의 TrPs 두반극근의 TrPs 말초신경포착에 대해서는 근육 정리가 끝나고 별도로 다루겠으나, occipital nerve entrapment로 인한 두통에서도 일차적으로 고려합니다. 흔히 척추내재근이라 부르는 다열근과 회선근은 각 척추 분절을 따라 분절촉진을 일으키기도 합.. 2022. 4. 14. 이복근 (diagastric muscle) *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이복근의 해부학(기시점과 정지점 / 신경 및 혈관 공급) / 이복근이 일으키는 임상증상에 대해 알게됩니다. 이복근(diagastric muscle)은 설골을 지나는 근육입니다. 위 그림에서 보듯 도르레처럼 생겼습니다. anterior belly와 posterior belly로 구분합니다. 각 근육의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공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육 이름 Diagastric muscle 기시점(origin) anterior belly - digastric fossa (mandible) posterior belly - mastoid notch of temporal bone 정지점(insertion) Intermediate tendon (hyoid bone) 작용 Op.. 2022. 4. 12.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