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교근의 종류 / 기시점과 정지점 / 신경공급 / 교근이 일으키는 임상증상에 대해 알게됩니다.
교근(Masseter)은 우리가 음식을 씹을 때 사용하는 매우 강력한 근육입니다. 저작운동은 교근과 측두근이 합니다. 별 것 아닌 것 같은데 은근히 치료점이 될 때가 많은 근육입니다.
반응형
각 근육의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공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육 이름 | Masseter |
기시점(origin) | zygomatic arch and maxillary process of zygomatic bone |
정지점(insertion) | Angle and lateral surface of ramus of mandible, coronoid process |
작용 | closing the jaws. elevation (as in closing of the mouth) and protrusion of mandible |
신경 공급 | mandibular nerve (V3) (largest division of trigeminal nerver) |
- 하악을 상승시켜 턱을 닫는 근육입니다.
- 보통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Deep belly와 Superficial belly입니다.
- 2021년 12월, 교근의 Deep belly가 더 세부적으로 분류될 수 있다는 주장이 있었습니다. 자세한 것은 아래 기사를 참고하세요. 해부학적인 구조가 아직까지도 업데이트 된다는 점이 놀랍습니다.
http://thescienceplus.com/news/newsview.php?ncode=1065619078323498
* 참고영상 (Kenhub)
https://www.youtube.com/watch?v=BJ9uUSyhyYc
* 임상적 증상
- 근막동통증후군(MPS)에 따르면 4 종류의 트리거포인트(TrP)가 존재합니다.
A. 표층섬유 상부의 TrP
- 윗쪽 어금니, 그 주변의 잇몸, 상악까지 방사
B. 표층 중간부의 TrP
- 아래쪽 어금니, 그 주변의 잇몸, 하악까지 방사
C. 표층섬유 하악각의 TrP
- 관자놀이를 지나 눈썹까지 방사. 하악각 주변의 통증.
D. 심층섬유의 TrP
- 하악의 ramus를 지나 외측익돌근이 있는 뺨 중간부와 턱관절. 귓 속 깊숙이 통증 발생 가능.
- 위에서 보듯이 어금니의 치통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한의학 경락에서 대장경 등이 치아로 들어간다고 하는데 이런 기전이 아닐까 싶습니다.
- 껌을 씹거나 질긴 음식을 먹는 것, 이를 가는 버릇, 치아의 부정교합, (코를 사용하지 않는) 구강 호흡 등으로 TrP가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 정서적 스트레스에 반응합니다. 화가 나면 이를 앙 깨물게 되는 것을 떠올려보세요.
- SCM의 위성 TrP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근골격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턱관절 장애 - 내익상근 / 외익상근 (0) | 2022.04.10 |
---|---|
측두근 (Temporalis muscle) (0) | 2022.04.09 |
안면근육 - 얼굴의 근육들 (Facial muscles) (0) | 2022.04.07 |
판상근(splenius) (0) | 2022.04.04 |
승모근(trapezius) (0) | 2022.04.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