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74 발가락의 굴곡과 신전; 발 모양 관찰하기 발목의 운동에서는 Dorsi flex.와 Plantar flex.이라는 표현을 쓴다. 한자어로는 배측굴곡, 족저굴곡인데 발등쪽으로 굽히느냐 / 발바닥쪽으로 굽히느냐의 차이이다. 발가락에서는 굴곡(flexion)과 신전(extension)이라는 표현을 더 많이 쓴다. 배측 굴곡이 신전(extension)이며 저측 굴곡이 굴곡(flexion)이다. 그래서 발가락을 아래로 굽히는 근육은 굴근(flexor)이며 위로 들어올리는 근육은 신근(extensor)이라고 한다. 손가락이든 발가락이든 엄지는 운동이 가장 다양하게 일어날 수 있으며 관련된 근육들도 보다 다양한다. 이번에는 2-5번 발가락의 신근과 굴근에 대해 알아보겠다. * 지굴근 (Fexor Digitorum) 1. 단지굴근(Flexor Digitorum.. 2020. 9. 11. 뭉친 어깨가 풀리지 않는 진짜 이유 (feat. 상부승모근) 현대인들이 백이면 백 호소하는 증상이 바로 '등 결림'과 '어깨 뭉침'이다. '어깨가 뭉쳐요'라는 표현도 굉장히 다양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치료를 위해서는 세분화시켜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일단 오늘은 승모근의 상부 섬유에 국한해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승모근'은 승려의 모자 모양의 근육이라고 하는데, 기다란 모자를 뒤로 벗어두면 승모근같은 모양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 신부복, 수단복을 찾아봤는데, 비슷한 모자 사진은 찾기가 어렵다. 아주대학교 정민석 교수님 웹툰에서는 '제다이 의상'과 비슷하다고 한다. 그래서 한글로는 '등 세모근'이라고 표현하는데, 이게 더 적절한 표현이라고 한다. 영어로는 trapezius라고 하는데 사다리꼴(trapezium)에서 유래한 용어로 보인다. 전부 다 형태를 근거로.. 2020. 9. 10. 골반/엉덩이 피부가 아파요 - 흉요추연접부증후군(Maigne syndrome) 요통은 정말 흔한 증상이다. 전 세계 인구의 84%가 일생에 한 번 이상 요통을 경험한다고 한다. 허리가 아프다고 해서 진찰을 해보면 골반이 아픈 경우가 많다. 환자에게 쉽게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바지 벨트선 아래로 통증이 있나요?"를 물어보는 것이다. 오늘 알아볼 흉요추연접부증후군 역시 골반의 통증을 야기할 수 있다. Robert Maigne라는 프랑스 의사가 제일 먼저 발견했다고 하여 Maigne syndrome이라고 부른다. Maigne가 저술한 '척추통증의 진단과 치료'에서 더욱 자세히 나와있으니, 요통 환자를 많이 보는 임상의라면 한 번쯤 보는 것도 괜찮겠다. 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4301444 척추통증의 진단과 치료 『척추통증의 진단과 치료.. 2020. 9. 7. 익상견갑 (winging scapular)의 세 가지 유형 * 어깨 관절의 불안정성 어깨관절(shoulder girdle)은 매우 복잡한 관절이다. 운동성이 높은 대신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근육의 뭉침/단축/약화 등으로 자세 변화가 생기기 쉬운 부위이기도 하다. * 익상견갑 (Winging Scapular) 익상견갑이란 어깨뼈가 체간에 단단하게 붙어있지 못하고 날개처럼 붕 떠있는 상태를 이야기한다. 따라서 어깨관절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부상을 입기 쉬운 불안정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부승모근의 약화 - 팔을 외전시키면 잘 보인다. - spinal accessory nerve의 문제로, SCM 상부 1/3에서 포착되기 쉬움. 능형근의 약화 - 견갑골의 하각이 외측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음. - dorsalscapular nerve의 이상. 능형근 자체에서 문.. 2020. 9. 6.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