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74 전거근의 기능이상 - 장흉신경(Long thoracic nerve) 전거근은 우리 갈비뼈에 붙어있는 근육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갈비살인데, 전거근이 중요한 종목이 바로 복싱입니다. 권투 선수들의 사진을 보면 톱니형의 전거근이 드러나도록 포즈를 잡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거근은 견갑골이 뒤로 빠지는 것을 잡아주기 때문에, 펀치력을 전달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근육이기 때문입니다. 양궁에서도 전거근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활 시위를 당길 때 전거근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균형을 잡기 힘들 뿐더러 활시위로 힘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합니다. 야구, 배구, 테니스 등 손이 어깨위로 올라가서 휘두르는 동작을 하는 스포츠는 어깨에 매우매우 나쁜 동작입니다. 견갑골의 위쪽 회전(upward rotation)과 후방 기울임(posterior tilting)에서도 주요 역할을 하게 .. 2020. 8. 30. 허벅지 바깥쪽 무딤/저림. 다리에 힘이 없어요. - 대퇴신경포착 대퇴신경이란 요추 2,3,4번의 분지로 샅부위를 통과하여 허벅지의 감각과 근육을 담당하는 신경입니다. 아래 그림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허벅지 감각이 무디고 저린 경우에는 흔히들 "허리디스크"를 의심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퇴신경 등 말초신경의 포착(entrapment)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일상에서 겪을법한 말초신경의 포착으로는 오랫동안 팔베개를 해준 이후, 혹은 한 자세로 자고 나서 느끼는 손가락과 하지의 일시적인 마비감이 있습니다. 일정시간 신경의 압박으로 마비감이 유발되는 것인데, 말초신경의 포착과 굉장히 유사합니다. 허벅지의 경우에는 대퇴신경과 좌골신경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게 됩니다. 대퇴신경의 포착은 femoral nerve stretch test라는 간단한 이학적 검사로 감별할 수.. 2020. 8. 28. 이마가 아픈 이유 - 전두통, 미릉골통 두통이 오는데 이마가 아플 때가 있습니다. 부위로 구분할 때는 앞 전(前) 자를 써서 '전두통'이라고 표현합니다. 영어로는 frontal headache라고 하구요. 왜 앞머리가 아픈 것인지 복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부비동염 부비동은 코 근처의 동굴같은 부위들, 즉 빈 공간들을 이야기합니다. 뇌를 외부 충격에서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곳입니다. 여기에 염증이 차면 부비동염인데... 이렇게 말하면 어딘가 무섭습니다. 그냥 축농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부비동염에서도 앞머리가 띵하고 무거운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한의학적으로 전두통은 대개 담음의 범주로 분류합니다. 특히 머리가 띵하고 아플 때, 손발이 싸르르 차갑고 소화장애까지 겹치게 되면 담궐두통에 해당하는데요. 반하백출천마탕 등의 처방을 사용합니.. 2020. 8. 27. 동통호(painful arc) - 어깨관절 통증의 기초감별 '호(arc)'란 원의 둘레 일부를 말하는 것이다. 아마 초중학교 수학시간에 배웠던 것 같다. '동통'은 통증과 별 다를 것이 없는 표현이다. 합쳐서 동통호(=painful arc)란, 통증을 일으키는 어깨관절의 범위에 따라 어깨의 어떤 부위가 문제인지를 가늠하는 방법이다. 아래의 그림을 보자. 팔을 들어올리는 그림이다. 팔을 옆으로 들어올리는 것을 외전(abduction)이라고 한다. 외전을 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팔이 앞이나 뒤로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통 팔을 들어보세요... 라고 하면 이렇게 팔을 들어올린다. 이 방향은 '굴곡(flexion)'이 섞인 운동이다. 몸통이 이루는 면과 평행하게 들어올려야 한다. 사실 이런 식으로 팔을 들어올리는 것은 정상 외전이 아니며, 일종의 보상운.. 2020. 8. 20. 이전 1 ··· 14 15 16 17 18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