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골성 구조물
- 골성 구조물의 구성
- 슬개골 Patella
- 대퇴골 원위부 distal part of Femur
- 경골 근위부 proximal part of Tibia
* 슬관절은 보통 Hinge joint로 분류되지만 실제로는 rotary motion + gliding motion이 있어 복잡한 운동을 한다.
슬관절의 운동 역학에서 다루어볼 예정.
1. 슬개골
- 근위부가 원위부보다 넓은 삼각형 모양의 sesamoid bone
- 관절면 : vertical ridge에 의해 medial articular facet > lateral articular facet으로 나뉘어진다.
- ROM에 따른 patellofemoral joint
반응형
2. 대퇴골
- 2개의 둥근 prominence로 구성
- 전방은 평평한 편이고 후방으로 튀어나와있다.
- patellofemoral groove(trochlea) : condyle 사이에 존재하는 groove로 슬개골 관절 부위
- 내과 (medial condyle)와 외과(lateral condyle)
내과 (medial condyle) | 외과(lateral condyle) |
관절면이 긴 편 | 관절면이 넓은 편 |
장축은 sagital plane과 22˚를 이룬다. | 장축은 sagital plane 상에 위치한다. |
- Intercondylar notch/fossa; 후방에서 condyle을 나눈다.
3. 경골
- 2개의 평평한 관절면(sup. articular surfaces)이 대퇴골 condyle과 관절을 이룬다.
- intercondylar eminence : tibial plateau를 중앙에서 분리한다.
- intercondylar eminence의 전방과 후방에 십자인대, 반월상연골판의 부착부위가 있다.
앞 → 뒤 순서대로...
- MM ant. horn
- ACL
- LM ant. horn
- LM post. horn
- MM post.horn
- PCL
- Lateral tibial condyle의 후방은 둥그스름하게 되어있어 슬관절 굴곡 시 가측 반월판(LM)이 후방으로 이동한다.
- 슬관절의 관절면은 sagittal view에서 congruent하지 않다. (MRI 상 이 특성을 통해 구별 가능함)
medial surface | 평평한 면 위에 바퀴가 놓여있는 형태 |
lateral surface | 볼록한 면 위에 바퀴가 놓여있는 형태 |
- coronal section에서는 양쪽 모두 오목하게 보인다.
* 관절 외 구조물
* 대퇴사두근(quadriceps)
- 4개의 구성요소 : 대퇴직근, 내측광근, 외측광근, 중간광근
- 3개의 층(layer) 구조
Superficial layer | Rectus femoris tendon이 슬개골 근위부의 전방부에 insertion |
Middle layer | Vastus lateralis tendon / Vastus medialis tendon이 슬개골의 측면에 insertion. 슬개골 외측 전이를 막는다. |
Deep layer | Vastus intermedius tendon이 슬개골의 근위부 후방부에 insertion한다. |
- 슬개건 (patella tendon)은 슬개골의 원위부에서 시작하여 경골 조면에 insertion 한다. 대퇴사두근건의 연장선상으로 볼 수 있음.
* 비복근(gastrocnemius)
- 하퇴부에서 가장 강한 근육.
- Med. & Lat. femoral condyle의 후방부에 insertion
- posterior capsule에 근접하여 슬관절 후방부를 지난다.
- lat. tendon이 gastrocnemius bursa를 덮는다.
* 거위발 인대 (Pes anserinus)
- Sartorius, Gracillis, Semitendinosus의 insertion 부위
- 무릎 관절의 Flexor & internal rotator & 외반력(valgus stress)에 저항
- 아래로 거위발 점액낭이 위치함.
* hamstring muscle
= 대퇴이두근 (biceps femoris) + 반건양근(semitendinosus) 반막양근(semimembranosus)
- 햄스트링 : knee flexor.
- 대퇴이두근은 강력한 외회전근육으로, rotary stabilizer로서 슬관절의 안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경골의 전방탈골을 방지)
- varus & rotary stabilizer
- 반막양근은 슬관절의 posterior, posteriomedial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함.
Oblique popliteal lig. | 슬관절 후방 안정성에 중요한 구조물. 반막양근 수축시 tightneing 된다. 또한 surgical repair 시 이 인대를 이용해 post. capsule을 tightening 하기도 한다. |
post. capsule & post. horn of MM |
슬관절 굴곡시 반막양근이 post. capsule을 tightening 시키고 MM을 잡아당겨 골과 meniscus의 손상을 방지한다. |
Ant. head | superficial MCL 심부와 관절선의 직하방에 insertion |
Direct head | 관절선의 직하방에 있는 medial tibial condyle의 posterior tubercle에 부착 |
Distal portion | 특별한 기능이 없는 부위임. |
* ITB = Iliotibial band
- insertion : 대퇴골의 lateral epicondyle + 경골의 Gerdy tubercle
- 전방으로는 vastus lateralis / 후방으로는 biceps femoralis 와 연결되어있다.
- 슬관절 신전/ 굴곡 모두에서 팽팽해진다.(tense)
슬관절 신전시 | ITB 전방으로 이동 |
슬관절 굴곡시 | ITB 후방으로 이동 |
- 슬관절 굴곡시 ITB, LCL, popliteus tendon은 서로를 가로질러 안정성을 최대화한다.
★ 무릎 관절의 외측 안정성을 유지하는 구조물 : ITB, LCL, popliteus tendon, biceps
* 슬와근 (popliteus muscle)
- 기능; 경골에 대한 대퇴골의 rotatory stabilation
medial rotator; 슬관절 굴곡 초기에 경골을 내회전시킨다.
슬관절 굴곡시 meniscus를 후방으로 잡아당긴다
posterior stabilazer : PCL을 도와서 경골의 후방전이를 방지.
- 슬와근 건 (popliteus tendon)
- 3 origins & Y shape tendon
femor의 lateral condyle에 붙는 main tendon
LM의 post. horn / fibular head에 붙는 tendon
반응형
'근골격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릎 관절의 해부학 Anatomy of Knee joint - ② (0) | 2020.09.28 |
---|---|
어깨관절가동술 - 스펜서 테크닉 (0) | 2020.09.27 |
골절 환자의 치료 (0) | 2020.09.25 |
회전근개의 석회성건염 (0) | 2020.09.24 |
골절 이후의 관리법 (0) | 2020.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