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장체성반사(VSR:Viscerosomatic Reflexs)란 자율신경계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체성 기능장애(SD: somatic dysfunction)의 일종이다.
자율 신경계가 특정 장기에 지속적으로 과한 자극을 주게 되면 반사 반응이 일어난다. 그 장기의 자율신경 분포와 같은 수준에 있는 신체는 체성 기능장애의 특성을 띤다. 즉 TART의 변화이다.
- TART : Texture, Asymmetry, Restriction of motion, Tenderness 질감변화, 비대칭, 범위 제한, 압통
교감신경계 | 부교감신경계 |
장기의 활동을 향상시키거나 가속화시킨다. 흉추 및 요추의 척추분절에서 분지. |
장기의 활동을 억제시키거나 저속화시킨다. 두부 및 천골 부위의 척추분절에서 분지. 특히 좌측 C2는 미주신경 특이적인 부위이다. 오스테오파시를 비롯한 수기 교정으로 내장체성반사는 해결될 수 있으나, 장기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계속 재발한다. |
기관계 | 교감(흉요추) | 부교감(두부, 천골부) | 비고 |
두부 / 안이비 | 양측 T1-4 | CN5(삼차신경), C0-2 | |
심혈관계 | T1-5(좌>우) | C0-2 | Lt T2는 심근경색에 특이적 |
폐계(호흡기계) | 양측 T1-4 | C0-2 | Lt T2는 천식반사에 특이적 미주신경 자극은 기관지 경련을 악화시킬 수 있다. = 급성 천식에는 C2 치료 금기 |
소화기계 | 식도 Rt T3-6 위 Lt T5-10 십이지장 Rt T6-8 충수 Rt T9-12 간/담 Rt T6-9 췌장 both T5-9 비장 Lt T7-9 소장 both T8-10 대장/직장 T10-L2 |
C0-2 횡행결장까지 S2-S4 횡행결장에서 항문까지 |
흔한 소화기계 질환의 루틴: Lt C2 T5 Rt T3 T7 |
비뇨생식기계 | 신장 T9-L1 방광 및 요관 T10-L1 전립선 T10-L2 난소, 나팔관, 고환 T9-T11 자궁과 자궁경부 T10-L1 |
신장 C0-2 기타 S2-S4 |
반응형
'Osteopathy (COMPLE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스테오파시를 책으로 배우고 싶다면? (0) | 2022.09.01 |
---|---|
압전효과 - Piezoelectricity (0) | 2020.12.27 |
호흡기 질환의 오스테오파시적 접근법 (0) | 2020.10.15 |
안이비인후과의 osteopathy 기법 적용 (0) | 2020.09.21 |
심장질환에의 osteopathy 기법 적용 (0) | 2020.09.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