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측두근의 해부학(기시점과 정지점, 신경, 혈관공급) / 측두근이 일으키는 임상증상에 대해 알게됩니다.
- 측두근은 머리의 옆 쪽을 채우는 근육입니다.
- 음식을 씹을 때 관자놀이가 올록볼록 올라오는 것을 보셨을텐데요, 그 근육이 측두근입니다.
- 정밀하지 않게 말할 때, 한 쪽 머리가 아프면 '편두통이 있다'고 표현하지요? 한 쪽 머리가 아플 때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근육입니다.
반응형
근육의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공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육 이름 | Temporalis muscle |
기시점(origin) | temporal lines on the parietal bone of the skull the superior temporal surface of the sphenoid bone |
정지점(insertion) | coronoid process of the mandible retromolar fossa |
작용 | elevation and retraction of mandible |
혈관 공급 | deep temporal arteries |
신경 공급 | deep temporal nerves branches of the anterior division of the mandibular nerve (V3) |
* 참고영상 (Kenhub)
* 임상적 증상
- TrP 1
위로는 안와상연을 연해서, 아래로는 윗 앞니(incisor teeth)로 방사된다. - TrP 2
측두근 중간부의 압통점 형성. 측두부의 중간부로 퍼진다.
아래로는 상악골 중간의 치아로 퍼진다. (송곳니 부위) - TrP 3
측두근 중간부의 압통점 형성. 측두부의 중간부로 퍼진다.
아래로는 윗니 어금니 쪽으로 퍼진다.
심부의 근육은 교근의 심부섬유와 함께 턱관절의 통증으로 표현될 수 있다. - TrP 4
근육의 후면부의 압통점이 존재하며 그 뒤쪽으로 방사통이 퍼진다.
* 잡설
- 저작근이므로 치아의 부정교합으로 만성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 두통을 주소증으로 내원했을 때 은근히 빈도가 높은 편입니다. 아마 판상근이나 SCM으로 인한 두통은 비교적 널리 알려져있기 때문에 측두근은 병의원에서 종종 간과되는 것 같습니다.
- deep temporal nerve의 공급을 받는 동시에 해당 신경을 포착(entrapment)하는 근육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만성화되었을 때는 치료적인 접근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손 끝으로 측두근을 넓게 두드려주는(tapping) 방법이 생각보다 유효합니다. AK에서는 전자파의 영향과 연관시키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AK는 제대로 공부해보지 않아서 모르겠습니다.
반응형
'근골격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복근 (diagastric muscle) (0) | 2022.04.12 |
---|---|
턱관절 장애 - 내익상근 / 외익상근 (0) | 2022.04.10 |
교근 (Masseter) (0) | 2022.04.08 |
안면근육 - 얼굴의 근육들 (Facial muscles) (0) | 2022.04.07 |
판상근(splenius) (0) | 2022.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