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 갱년기, 폐경기에는 에스트로겐의 저하로 골밀도의 저하가 일어나기 쉬움.
대상 : 갱년기의 골밀도 저하 환자들
황기 20g/day 그룹
칼슘 + 비타민 D 그룹
여성호르몬 제제(tibolone) 그룹
황기전탕액을 먹은 그룹에서 더욱 효과적이었음.
결론
황기는 대표적인 보기(補氣)약입니다.
흔히 갱년기, 폐경기를 지난 여성은 허로증을 끼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마른 체형의 여성은 지방세포가 적어 여성호르몬의 저하로 인한 각종 증상에 노출되기 쉽습니다.
갱년기의 여성으로, 열증이 심하지 않으며, 체격이 마른 경우에는 기타 방증 및 약증과 비교하여 황기를 대량투여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겠습니다.
역으로 1일 20g 이상의 황기 투여는 자궁근종,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증식증, 유방암 등에는 주의깊게 투여해야 하겠습니다.
반응형
'부인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BG - Sex hormone-binding globulin (0) | 2021.02.20 |
---|---|
유방, 자궁의 종양과 한약(천연물) (0) | 2021.02.05 |
다이어트 중 임신을 했어요 (0) | 2021.01.31 |
정상적인 질 분비물 (0) | 2020.09.18 |
질(분비물)에서 생선냄새가 난다면? (0) | 2020.08.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