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74 거북목 증후군에 대하여 거북목 증후군이란? '거북목 증후군'은 대중적으로도 이미 널리 알려진 용어입니다. 마치 거북이처럼 목을 앞으로 쭉 내밀고 구부정한 자세로 있는 것을 말하는데요. 다양한 방면으로 밈화가 될 정도로 널리 퍼져 있습니다. 그런데 거북목 증후군이 뭘까요? "거북목 증후군"의 다른 표현들에 대해 알아봅시다. '거북목 증후군(turtle neck)'이라는 용어는 한국에만 존재합니다. 외국 나가서 "터틀넥"이라고 하면, 알아듣지 못합니다. 또한 KCD 상병 목록에도 존재하지 않는 병명입니다. 비슷한 용어들은 많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VDT syndrome입니다. 요즘은 Texting neck이라는 용어도 사용하더라구요. "컴퓨터 많이 해서" / "스마트폰 많이 해서" 생기는 병이라는 뜻인데요. 얼추 맞는 말입니.. 2023. 7. 12. 상후거근=후상거근 (serratus posterior superior) *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상후거근의 기시점과 정지점 / 신경공급 / 상후거근이 일으키는 임상증상에 대해 알게됩니다. 흉곽을 확장시켜 흡기를 돕는 근육입니다. 견갑거근과 가까운 위치입니다. 견갑골 내측 상각이 아프다면 같이 고려해볼만 합니다. 중부승모근의 5번 TrP와 증상이 유사할 수 있습니다. 상후거근이 보다 깊은 곳의 통증으로 느껴집니다. 임상적으로는 그냥 같이 치료합니다. 각 근육의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공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육 이름 상후거근=후상거근 (serratus posterior superior) 기시점(origin) Nuchal ligament (or ligamentum nuchae) the spinous processes of the vertebrae C7 throug.. 2023. 7. 11. 흉골근 (Sternalis muscle) : *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흉골근의 종류 / 기시점과 정지점 / 신경공급 / [근육]이 일으키는 임상증상에 대해 알게됩니다. 흉골근(sternalis muscle)은 해부학적 변이입니다. 즉, 모든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근육이 아닙니다. 전체 인구의 7.8%에서 나타난다고 합니다. 위와 같은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각 근육의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공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육 이름 기시점(origin) manubrium of sternum or clavicle 정지점(insertion) xiphoid process, pectoral fascia, lower ribs, costal cartilages or rectus sheath 작용 Unknown 신경 공급 pectoral nerv.. 2023. 7. 11. 소흉근 (pectoralis minor) *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소흉근의 기시점과 정지점 / 신경공급 / 이 일으키는 임상증상에 대해 알게됩니다. "흉곽출구증후군"이라는 키워드만 알아도 소흉근은 절반이상 파악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각 근육의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공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육 이름 소흉근 (pectoralis minor) 기시점(origin) Third to fifth ribs, near the costochondral junction 정지점(insertion) Medial border and superior surface of the coracoid process of the scapula 작용 Stabilizes the scapula by drawing it inferiorly and anteriorly a.. 2023. 7. 10. 이전 1 2 3 4 5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