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steopathy (COMPLEX)

체성 기능장애 개요 & TART

by KMDK 2020. 8. 22.

정의

 

 체성계(뼈대)와 연관된 요소의 기능이 손상되거나 변형된 것.

 즉, 골격/관절/근막구조 및 그와 관련된 혈관/림프/신경 등의 기능적 손상이나 변형을 뜻함.

 

특징

 

  • 체성 구조의 정상기능에 생긴 장애
  • TART의 특징들이 존재
  • 신경 생리적 현상에 기초함
  • 건강 상태를 손상시킴
  • Osteopathy 수기요법에 적절히 반응함.

TART란?

  • Tissue texture change 조직 질감의 변화
  • Asymmetry 비대칭
  • Restriction of motion 가동범위 제한
  • Tenderness 압통

 

T; 조직 질감의 변화

 

급/만성에서의 조직 질감의 변화

항목 급성시 만성시
질감 질퍽함, 거칠음 얇음, 부드러움
온도 따뜻함 차가움
수분 촉촉함 건조함
압통 확연함 존재하나 뚜렷하지 않음
부종 존재함 없음

실제로는 이 표를 뚜렷하게 따르지는 않는 것으로 보임.

특히 만성 질환에서도 압통과 부종이 있는 경우가 있음. 홍종열통의 국소 염증 판단을 교차로 확인해보면 좋을 것 같음.

 

 

A; 비대칭

 

육안으로 관찰, 혹은 촉진상의 비대칭.

좌우를 비교, 움직임을 줘가며 촉진하는 것도 좋은 방법.

 

ROM의 좌우 비대칭도 관절이나 근육의 비대칭을 암시할 수 있다.

 

 

R; 움직임 제한

 

끝느낌(end feel)에 주의!

Elastic barrier = physiological barrier = 생리적 장벽

능동 운동시에는 생리적장벽까지 진행 가능합니다.

관절가동술(mobilization)이 일어나는 범위입니다.

 

anatomical barrier = 해부학적 장벽

여기를 넘어서서 움직이게 되면 다칩니다. 염좌라고 표현합니다.

수동 운동시에는 해부학적 장벽까지 다가갈 수 있습니다.

 

즉, 내가 스스로 움직이면 생리적 장벽 안에서, 다른 사람이 잡고 돌려주면 해부학적 장벽 안에서 움직이게 됩니다.

만약 양 장벽 사이의 미묘한 범위 내에서 관절을 정상범위로 넣어주는 힘을 받게 되면, 교정(Manipulation)이 일어납니다. 이 치료적인 범위를 Paraphysiological space라고 합니다.

 

만약 체성 기능장애가 있다면, 해당 관절의 제한장벽이 존재할 것입니다. 잘 안움직인다는 소립니다.

 

 

T; 압통

 

압통은 환부 촉진시의 주관적 요소입니다.

환자의 표정이나 반응을 잘 체크합니다. 환자보고 눌러달라고 해도 되는데, 반드시 치료 전에 치료자가 직접 눌러서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통증에 대한 반응은 종종 불수의적입니다. 즉, 환자 맘대로 조절이 되지 않을 수 있으니 너무 혼내지마시고 너그럽게 받아들여줘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