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74 판상근(splenius) *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판상근의 종류 / 기시점과 정지점 / 신경공급 / 판상근이 일으키는 임상증상에 대해 알게됩니다. 두판상근(splenius capitis)과 경판상근(splenius cervicis)이 있습니다. 사실 다른 근육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각 근육의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공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육 이름 splenius capitis 기시점(origin) Lower half of ligamentum nuchae (C4-C6) and spinous process of C7-T3 정지점(insertion) Superior nuchal line, mastoid process of temporal bone rough surface adjoining occipital bone .. 2022. 4. 4. 승모근(trapezius) *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승모근의 종류 / 기시점과 정지점 / 신경공급 / 승모근이 일으키는 임상증상에 대해 알게됩니다. 승모근은 상, 중, 하 세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상부 승모근을 승모근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은데, 흉추까지 넓게 펼쳐진 근육입니다. 주로 상부승모근은 뭉쳐서 문제가 되고 중하부 승모근은 약해져서 문제가 됩니다. 각 근육의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공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육 이름 Trapezius 기시점(origin) Medial 1/3 of superior nuchal line 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 spinous processes of vertebrae C7-T12 Nuchal ligament 정지점(insertion) poste.. 2022. 4. 3. 사각근(scalene muscle, scalenus) *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사각근의 종류 / 기시점과 정지점 / 신경공급 / 사각근이 일으키는 임상증상에 대해 알게됩니다. 사각근(scalenus)은 전(anterior) / 중(medius) / 후(posterior) 사각근으로 분류됩니다. 목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지(팔)로의 방사통이 특징적입니다. 흉곽출구증후군(TOS)의 주범인데요. '디스크'라고 알고 있었고, '디스크'로 진단받았는데 사각근의 문제인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사실 로컬 의원에서 엑스레이만 찍고 디스크로 진단하는 것은 대부분 오진입니다. 그런데 설명이 길어지고 귀찮으니 그냥 목디스크라고 퉁 쳐버리는 거지요. 각 근육의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공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육 이름 Scalenus 기시점(origin) * Ante.. 2022. 4. 2. 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 = SCM) *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흉쇄유돌근의 해부 / 기시점과 정지점 / 신경공급 / 흉쇄유돌근이 일으키는 임상증상에 대해 알게됩니다. 흉쇄유돌근은 매우매우 중요한 근육입니다. 대충 머리나 목 쪽의 문제인데 잘 모르겠으면 일단 조지고 봐도 됩니다. 보통 SCM이라고 줄여서 부릅니다. 각 근육의 기시점, 정지점, 작용, 신경공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육 이름 Sternocleidomastoid = SCM 기시점(origin) Medial / sternal head; Cranial part of manubrium sterni Lateral / clavicular head; Medial 1/3 of clavicle 정지점(insertion) Lateral surface of mastoid process Lat.. 2022. 4. 1.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