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반의 뼈대는 위와 같이 생겼다. 우측 작은 사각형에 들어있는 부위가 고관절, 즉 hip joint이다.
뼈의 해부학적 구조들은 다 암기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인대, 근육, 신경 등을 살펴볼 때 land mark가 되기 때문이다.
동그란 Femur의 head 부분이 acetabulum에 끼워지는 형태인데, 이런 형태의 관절을 ball&socket joint라고 한다.
큼직하게 나누어보면, 위와 같이 나눌 수 있다. 고관절을 이루는 hip bone을 다시 살펴보면...
위와 같이 ilium, ischium, pubis로 나누어진다. 한글(한자?)로는 순서대로 장골, 좌골, 치골이라고 한다.
의학을 공부하지 않은 사람들이 대퇴골의 대전자(greater trochanter of femur) 부위를 치골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왜 그렇게 부르는지 모르겠으나, 치골은 성기의 윗 부위에서 촉지할 수 있다. 그러니 치명적인 치골 라인을 자랑하는 사람은 공연음란죄로 끌려갈 가능성이 크다.
그러면 고관절, hip joint를 이루는 뼈는 셋 중 무엇일까? acetebulum은 좌측 그림에서 보듯이 세 뼈가 모두 모여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고관절(hip joint)를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자. acetabulum의 주변에는 fibrocartilage의 일종인 labrum이 둘러싸고 있다. 관절순이라고 한다.
우측 그림에서 보이는 인대는 ligamentum teres이다.
이 인대를 따라 고관절은 obturator artery로부터 혈액공급을 받는다. 골학을 하다보면 대퇴골두에 구멍이 뽕 뚫려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fovea capitis라고 하는데 여기로 ligamentum teres와 artery가 닿는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AVN)가 생각보다 흔하기 때문에 혈액공급에 대해서도 기초적인 지식은 있는 것이 좋겠다.
대퇴골두로 이어지는 혈액 공급을 나타낸 그림이다.
고관절은 활막관절(synovial joint)이다. capsule의 구조는 위와 같다. head 아래부위에서 활막이 2겹이 되는 점은 초음파 진단시에 중요할 수 있다.
zona orbicularis는 annular ligament라고도 하는데, 대퇴골의 목을 둘러싸는 인대 구조물이다. 우유병 뚜껑을 고무줄로 묶어놓은 것을 상상하면 편할 것 같다.
고관절을 단단하게 잡아주는 인대들을 살펴보자. hip bone의 세 뼈에서 femur로 이어지는 인대들이다. 이름이 매우 직관적이기 때문에 어렵지않게 암기할 수 있다.
iliofemoral ligament, pubofemoral ligament, ischiofemoral ligament의 세 종류가 있다.
어떤 골성 구조물에 어떤 근육이 붙는지는 확실히 익혀두는 것이 좋다.
- ASIS : TFL, sartorius
- AIIS : rectus femoris
- pubis : adductor longus/brevis/magnus, gracilis, pectineus
- ischial tuberosity : biceps femoris, semitendinosus, semimembranosus
- greater trochanter : gluteus minimus, gluteus medius
- lessor trochanter : iliopsoas
뒤에서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은 대둔근, gluteus maximus이다. 위 그림에서는 제거된 상태이다. 대둔근은 ilium의 gluteal surface, sacrum, lumbar fascia와 sacrotuberous ligament에서 기시하여 ITB와 femur의 gluteal tuberosity로 가서 정지한다.
그 아래에서는 중둔근과 소둔근이 보이는데, 외전근들은 어깨에서 회전근개가 하는 역할을 고관절에서 해주기도 한다. (abductor tendon cuff)
이상근(piriformis)은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한데, sciatic nerve가 이상근 아래를 지나기 때문이다. piriformis syndrome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림을 잘 보면서 숙지해두도록 하자.
https://www.youtube.com/watch?v=VPoSFxOvQyk
bursa는 기본적으로 마찰이 많은 부위에 자리한다. Dr. Nabil Ebrahein의 영상에서 깔끔히 설명해주고 있어 영상을 공유한다.
정리하다보니 너무 대충대충 정리한 것이 아닌가 싶은데... 모자란 점이 있으면 구글링해보시고 저한테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근골격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방병원의 MRI 판독과 정형외과 MRI 판독의 차이 (0) | 2022.04.25 |
---|---|
고관절에서 소리가 나는 이유 (0) | 2022.04.24 |
극상근 (supraspinatus) (0) | 2022.04.19 |
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0) | 2022.04.18 |
턱관절(TMJ)의 해부학 (0) | 2022.04.15 |
댓글